해맑은블로그

해맑은블로그

제목집중력과 에너지2025-08-16 20:24
작성자 Level 10

  집중이 몰입과 다른 점은 조절 능력이 항상 바탕이 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힘든 시간을 이겨내기 위해서 자신의 욕구를 조절하고 참고 견디어 내는 상황에서 집중력이 발휘된다고 생각하면 좋을 거 같습니다. 몰입은 본인이 주로 원하는 작업을 할 때를 말합니다. 게임을 할 때를 몰입한다고 말을 하지요. 몰입이라는 단어는 어떤 경우에는 긍정적으로 다루어지지만 다른 경우에는 집착이나 집요함과 같은 단어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 몰입을 할 때도 에너지를 사용하겠지만 집중을 할 때는 시작부터 과정 그리고 마지막까지 에너지 사용이 과도합니다. 그 에너지의 사용을 통해서 자신이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서 노력하는 거지요. 결국 집중을 위해서 에너지를 사용할 수 밖에 없고 어떤 면에서 집중력을 잘 발휘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는 에너지가 많아야 효율적으로 자신의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고등학교 정도 다니는 아이들 중에 스스로 집중력이 떨어진다고 병원을 찾는 아이들이 있습니다. 부모님쪽에서나 선생님쪽에서 집중력 부족에 대한 언급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스스로 집중을 못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아이들이죠. 병원 내원 후에 집중력 검사를 해서 또래 아이들과 상대적인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면 되겠지만, 어떤 아이는 병원내원 전에 자신의 생각이 확실하게 맞다고 생각하기도 하고 이 아이들은 검사가 정상적으로 나오면 그 결과를 받아들이기 힘들기도 합니다. 주로 자기 완벽주의 패턴을 가지고 있고, 자신의 기대감이 높아서 그것을 이루지 못하는 상황을 집중력 부족이 원인이라고 생각하는 경우의 아이들이죠. 그 기대감을 낮추면 스트레스를 덜 받고 자기 만족을 얻을 수 있지만 그것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자신의 학습결과에 대해 스트레스를 느끼고, 그 스트레스도 일종의 생체 에너지이고 스트레스를 느끼는 거 자체도 에너지를 쓰고 있는 상황이고, 이는 아이들이 말하는 잡념으로 이어지기도 해서 더더욱 생체 에너지를 더 사용하고 그 결과로 생체 에너지이기도 한 집중력을 위한 에너지가 적어질 수 밖에 없는 결과를 낳아서 좀 더 악순환 하는 상황을 만듭니다. 즉, 높은 자기 기대감->기대감에 미치지 못하는 결과의 출현->스트레스 증가->집중력 감소->기대감에 미치지 못하는 결과 의 문제가 생기는 거죠. 이러한 경우의 아이들에게는 집중력이 정상이라는 결과의 긍정적인 측면을 강조하고, 그런 집중력을 가지고 있는 것이 어떻게 보면 다행이라는 방향으로 상담을 하면서 자기 기대감을 내려놓을 수가 없다면, 스트레스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 잡념에 대한 대처, 그리고 너무 사소한 영역에 대한  걱정이 많은  상황이라면 항우울제 등으로 아이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집중력검사#완벽주의#생체에너지#집중력# 몰입
댓글
자동등록방지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입력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