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의 정상발달

아이들의 정상발달

제목만 6 - 12세2020-06-23 18:55
작성자 Level 10

이 시기는 초등학교에 다니며 학습수행과 성취와 많이 관련이 있는 시기입니다. 학습수행을 하기 위해서는 읽고 쓰고 셈하는 능력을 갖추어야 하기 때문에 아이들의 두뇌는 이런 복잡한 기능을 잘 수행할 수 있도록 큰 근육, 작은 근육, 인지능력, 사회성도 최대로 발달하게 되며, 7세경 두뇌의 크기가 어른들의 크기와 비슷해지기 때문에 상상, 환상보다는 논리적으로, 현실적으로 개념화하는 능력이 성장하게 됩니다. 그리고 인과관계를 잘 파악할 수 있고, 다른 사람의 말과 행동을 통해 그 사람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으며, 보존의 법칙 등을 이해하게 됩니다. 그러기 때문에 만 7세는 두뇌발달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변화가 일어나는 전환점이 되는 시기입니다. 사회적인 규칙, 학교의 규칙, 친구간에 지켜야 할 규칙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게 되고 착한 아이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가에 대해 주목합니다. 이러한 시기에 아이들에게 규칙이나 법규, 의무 등을 너무 강조하고 아이들의 성취에 대한 칭찬이나 격려가 부족할 경우에는 의무감에 아이가 힘들 수 있으며 열등감과 자신에 대한 실망감이 증폭될 수 있습니다.
이 시기의 아이들에게 학교라는 사회는 중요한데 또래관계를 통한 대인관계의 기본을 이룰 수 있고 학업성취라는 요구에 따른 적응방식을 택하기 시작합니다. 아이는 주로 동성의 아이들에게 관심이 있고 친구를 맺고 우정을 키워나가면서 이성에 대한 관심은 아주 작게, 그리고 보이지 않게 가끔 표현하기도 합니다. 남자아이들이 고무줄을 끊는다든가 여자아이들을 놀린다든가, 여자아이들이 남자를 힘으로 위협하거나 이성 앞을 지날 때는 얼굴을 붉히면서 뛰어가기도 하면서 이성에 대한 관심과 억제를 동시에 표현하기도 합니다. 또, 단짝이 생기고 이들과 우정을 키우고 유지할 수 있는 것은 9-10세 경에 다른 사람에 대한 공감능력과 다른 사람을 걱정할 수 있는 능력이 생기기 때문에 가능합니다.

* 인정을 나타내는 신체적인 표현

껴안는다 미소
머리나 어깨를 두드려 준다. 가벼운 입맞춤
다정하게 머리를 쓰다듬는다. 엄지손가락을 들어 보인다.
아이에게 팔을 두른다. 윙크

* 인정을 나타내는 언어적 표현

엄마는 네가 ——–하는 것이 좋구나 예쁘다
네가 ———–을 할 때가 참 좋더라 와 아!!
너는 정말 착한 아이야 잘했어
네가 이렇게 할 때 정말 좋아 잘하고 있습니다
정말 잘하는구나 멋있구나
혼자서 그만큼 하다니!! 최고야
정말 훌륭해
네가 ——-을 했을 때 정말 훌륭했어
네가 ——-했을 때 다 큰 아이 같더라
얼마 전만 해도 지금처럼 잘하진 못했는데
너는 정말 빨리 크는 것 같아.
이따가 아빠가 오시면 네가 얼마나 잘했는지 말씀드려야겠다
네가 —-할 때 정말 멋있다는 거 아니?

☞ 주의 사항
1. 가능한 칭찬은 즉시 하십시오. 기다리지 마십시오.
2. 구체적으로 칭찬하십시오.
3. 핀잔 섞인 칭찬은 하지 마십시오.
예를 들어 “방 청소를 다했구나. 왜 전에는 하지 않았었니?”와 같은 말은 칭찬이 아닙니다.

댓글
자동등록방지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입력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