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맑은블로그

해맑은블로그

제목틱장애의 원인에 대한 치료의 중요성2020-06-24 21:11
작성자 Level 10

틱증상은 흔히들 스트레스와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 스트레스는 상당히 주관적이어서 누구나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는 상황이 있을 수 있고, 반대로 경한 정도의 스트레스라고 생각할 수 있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아이가 스트레스를 강하게 받을 수 있습니다. 물론 이러한 스트레스의 강도는 아이가 만족감 추구 성향이나 욕구충족성향이 큰 아이이냐 아니냐와도 관련이 있습니다. 욕구충족성향이 큰 아이라면 채우지 못하는 상황이나 좌절이 되는 상황에서 다른 아이들보다 더 큰 좌절감이나 실망감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따른 분노나 슬픔을 더 강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틱증상이 심한 복합틱이거나 이 틱증상으로 아이나 부모 또는 주변 사람들이 스트레스를 경험한다면 틱증상 자체에 대한 약물치료를 해야 합니다. 하지만 이 틱증상이 경한 정도의 틱이라면 지켜보는 방법을 선택합니다. 그리고 틱증상을 유발하는 스트레스의 원인에 대한 치료를 생각해야 합니다. 틱증상의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원인인 환경적인 요인을 밝혀내고 완화시키고 제거하는 방법도 있지만 아이의 성향을 검사를 통해서 확인하고 이를 치료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틱증상과 공존할 수 있는 아이의 문제점들이 몇 가지 있고, 이를 해결해야 합니다.

그 문제점들 중에 가장 많은 빈도로 있는 문제가 ADHD입니다. 이 문제는 틱증상을 가지고 있는 아이들의 60%에서 공존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문제는 정서적인 문제라기 보다는 조절능력의 문제이기에 환경적인 요인보다는 아이 본인의 성향입니다. 앞서 언급했던 자기 욕구충족적 성향이 크기 때문에 주변 인물들간의 문제 발생 여지가 많고, 쉽게 만족하지 못하기 때문에 자체적인 스트레스 강도가 높을 수 밖에 없습니다. 두번째로는 불안 문제입니다. 불안은 상황에 대한 부정적인 인지에 의해서 발생하기 때문에 스트레스를 좀더 파국적으로, 더 부정적인 쪽으로 받아들일 수 있고, 틱증상의 유발하는 스트레스 원인이 됩니다. 마지막으로 가장 많은 것이 완벽주의적인 성향입니다. 이 문제도 자기 기대감이 높기 때문에 이를 이루기 위한 노력과 자기억제적인 성향의 생각과 감정을 유발하기 때문에 자체 스트레스가 많을 수 밖에 없습니다.


위 3가지 문제중에 아이가 어떤 문제를 가지고 있는지를 확인해서 이를 해결해 주는 것이 아이의 스트레스를 줄여줄 수 있고, 이 치료가 아이의 틱증상의 완화로 이어질 수 있는 것입니다.
앞선 글에서 언급했듯이 환경적인 문제만을 강조하며, 아이를 둘러싸고 있는 학교나 가정의 문제만을 교정하고 변화시키려는 노력으로는 틱증상을 해결하는 것이 미흡합니다. 엄마를 바꾸는 것이 도움이 안되는 것입니다. 아이의 성향을 바꾸어야만 변화를 쉽게 유도할 수 있습니다.



 

#틱장애#틱증상#틱장애치료#틱장애원인#소아정신과치료
댓글
자동등록방지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입력해 주세요)